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호주산 철강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국제사회에 충격을 안긴 가운데, 호주 정부는 여전히 면제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철강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수입 관세를 대폭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호주를 포함한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국들을 사전 경고 없이 겨냥한 조치로, 호주 정부는 이를 “우방에게 할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호주 노동당 정부의 아만다 리쉬워스 장관은 6월 1일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호주는 철강 수출과 관련해 관세 면제를 받을 수 있는 경로가 있다고 본다”며 “정부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외교적 자원과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번 조치를 “부당한 움직임”으로 규정하고 “우리는 미국 행정부 내 여러 관계자들과 꾸준히 협력하며, 우리 산업의 입장을 일관되게 전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패럴 무역장관도 “이번 관세 인상은 경제적 자해 행위이며,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에 의존하는 소비자와 기업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며 “호주의 입장은 명확하고, 우리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철회를 계속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인상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 이후 처음으로 세계 정상들을 대상으로 한 강경한 무역정책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호주를 포함한 주요 수입국들에 대해 자국 산업 보호를 내세우며 철강에는 50%, 알루미늄에는 25%, 그리고 기타 호주산 상품 전반에 10%의 포괄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앤서니 알바니지 총리는 오는 6월 15일부터 17일까지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첫 대면 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양국 간 무역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외교적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알바니지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을 호주에 공식 초청하기도 했다.
야당인 자유당도 이번 조치를 강하게 비판했다. 제임스 패터슨 신임 재무 대변인은 “이는 매우 실망스러운 결정이며, 총리는 호주의 국익을 수호하기 위해 단호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된 이후 첫 회담이 8개월이나 지나서야 이뤄지는 것은 매우 안타깝다”며, “좀 더 빠르게 관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호주는 미국에 비해 훨씬 적은 규모의 수출을 하고 있으며, 호주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양국 간 오랜 우호 관계를 강조하며 협상 여지를 남기고 있다. 리쉬워스 장관은 “미국이 호주에 수출하는 양이 훨씬 많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며 “우리는 항상 가까운 동맹이었고, 앞으로도 일관된 입장을 가지고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